📹

쇼츠 만들기의 효과와 효율

sssh
5 min read
쇼츠 만들기의 효과와 효율

쇼츠 혹은 릴스를 만드는 이유를 많은 분들이 '조회수'를 늘리고 싶다, 로 생각을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숏폼 콘텐츠를 만들고 기대하는 효과는 더 많은 조회수겠죠. 그러나 생각보다 조회수 수익은 그다지 많지가 않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언제나 '들이는 수고'를 생각해야합니다.

죠츠 메이커로 만든 이미지 1
죠츠 메이커로 만든 이미지 1

최저 시급만 가져가도 좋겠어..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사실 숏폼 콘텐츠가 갖는 효과는 그 정도가 아닙니다.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죠.

[시간 대비 노동 비용 정도만 가져가겠어]
vs
[전국, 아니 전세계에 내 콘텐츠의 송출 가능. 그걸 통한 상품 판매]

이라고 했을때 장기적으로 훨씬 가성비가 좋은건 후자입니다. 이 얘기는 나중에 좀 더 길게 할 시간이 있지 않을까 싶구요. 오늘 우리가 얘기할 이야기는 효과와 효율입니다.

죠츠 메이커로 만든 이미지 2
죠츠 메이커로 만든 이미지 2

쇼츠 만들기의 효과는 뭘까요?

조회수를 100만회 찍었다, 서울대를 합격했다, 매출을 월 1억을 달성했다 등이 있겠습니다. 실질적으로 우리가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 혹은 중간 목표에 가깝습니다.

그렇다면 효율은? 이런 효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게 해주는 것은 도구의 도움을 받거나, 특정 생각의 방식을 써서 훨씬 빠르게, 혹은 싼 가격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좀 말이 어려울테니, 예시를 들어보죠.

쇼츠를 만들기 위해선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직접 본인이 영상을 찍거나 그리는 방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바로 본인이 썰을 풀거나, 춤을 추거나 요리를 하거나 굉장히 많은 방식이 있죠.

죠츠 메이커로 만든 이미지 3

ai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ai를 이용하는 이유는 뭘까요? 본인이 하나하나 이미지를 만들거나 촬영을 하자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ai의 '딸깍'에 비해 본인이 촬영 준비를 하고 영상을 편집하는건 여간 시간이 걸리는 일이 아니죠.

그렇다고 ai에 비효율이 없는건 아닙니다. 숱한 ai 영상 혹은 이미지 생성 모델의 바이럴 영상과는 다르게, 실제로 쓰자면 사실 굉장히 많은 시간이 들게 됩니다. 아무튼. 이게 바로 효율인데요.

효과가 효율보다 어렵습니다

재밌는 것은 많은 도구들(편집 툴, ai 도구 등)은 '효율'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왜냐하면 효율에 비해 '효과'를 내는 것이 훨씬, 훨씬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쇼츠를 빠르게 만드는 걸 도와주는(효율) 도구'는 존재하지만 '쇼츠 조회수를 무조건 10만회 이상으로 보장하는(효과) 도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있으면 제보 부탁드립니다...)

아무리 잘난 사람일지라도 '반드시' 특정 비즈니스를 성공시키거나 '반드시' 특정 영상, 혹은 채널을 성공시킬 수는 없습니다. 모두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하고, 그럼에도 성공을 '보장'할 수는 없는 영역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들기 시작한게 zorts.app인데요. 이 앱을 통해서 사람들이 얻었으면 하는 건 효과를 만들기 위해서 해야할 올바른 행동이 무엇이냐는 겁니다. 그건 시간이 허락하는 한 더 많은 영상을 만들고 그에 대해서 더 많은 실험을 하고 그 콘텐츠(의 생산)에 대해 더 많은 소통을 하는 것입니다.

CTA Image

숏폼 만들기에 도움을 주는
죠츠 메이커는 바로 쓸 수 있어요.

바로 쓰기

ai 모델은 점점 발전하고, 갑자기 지구가 멸망하지 않는 이상 근미래에 훨씬 높은 수준으로 발전할 것인데요. 우리는 이 모델의 효율에 현혹되지말고, 결국 이 모델로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해 집중해야겠습니다.